(주)노바테크 로봇 엔지니어 경력/신입 채용(울산/부산)
공학DB
아주대학교 동력공학 실험실
실험실 소개 이미지
실험실 정보안내
지도교수 이종화, 박진일
전공분류 차량공학(Vehicle),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동구 원천동 산 5번지 아주대학교 기계공학부
전화 031-219-2324,2328,2309
홈페이지 http://ws.ajou.ac.kr/~engine/new/main.htm
실험실소개

본 연구실은 1993년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시스템 관점에서 차량의 진단, 제어 및 최적화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지금까지 수행된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솔린 엔진의 노킹 판정 알고리듬 개발 및 노킹 감지 시스템 개발
-가솔린 엔진에서 밸브이벤트가 연소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LPLi 엔진의 인젝터 icing 현상 고찰 및 개선안 도출
-EMV(ElectroMechanical Valve) 설계 및 엔진 적용
-고속응답 CO2 농도 분석 장치 설계 및 엔진 적용
-차량의 요소별 연비기여도 분석을 위한 에너지 흐름모델링 및 측정시스템 개발
-VeFAS(Vehicle Fuel-consumption Analyzing System)를 이용한 연비 분석 및 개선안 도출
-VeDAS(Vehicle Driveability Analyzing System)를 이용한 운전성 분석 및 개선안 도출
-AVL Cruise를 이용한 차량 모델링 및 연비 예측 시뮬레이션
-상용 차량의 연비 시험 모드 개발 

연구분야

1. VeFAS(Vehicle Fuel-consumption Analyzing System)를 이용한 연비 분석:

Energy flow down method를 통한 차량 요소별 연비기여도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 연비 개선안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실차 상에서 크랭크앵글 단위의 실시간 데이터 측정이 가능한 VeFAS를 개발하였다. VeFAS는 고속 DSP를 내장하여 필요한 연산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며 그 결과를 PC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선진국의 고효율 차량과의 요소별 연비기여도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도출하였다.
-유압식 Power steering system의 최적화를 통한 연비 개선
-모터구동 유압식 Power steering system 적용 차량의 연비 개선 효과 도출
-교류발전기의 충전제어를 통한 연비 개선 효과 예측
-기계식 냉각팬의 전자화에 의한 연비 개선
-엔진오일온도에 따른 엔진 마찰 모델링 및 연비기여도 분석
-대형 트럭의 요소별 연비기여도 분석을 통한 연비 개선안 도출
-과도구간에서 점화시기 제어가 연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제어 최적화

2. VeDAS(Vehicle Driveability Analyzing System)를 이용한 운전성 분석:

프리미엄급 차량의 운전성 분석을 위해 연비 분석용 시스템인 VeFAS에 고속성, 확장성, CAN 통신 기능 등을 추가한 VeDAS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운전성 분석 연구를 수행 중이다.
-가속응답성 측정 및 연료, 점화, 쓰로틀 등의 제어 특성 분석
-가속선형성 측정 및 동력전달계 동특성 분석
-차량 동력학 모델링 및 simulink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3. AVL Cruise를 이용한 차량 모델링 및 연비 예측 시뮬레이션 :

연비 분석용 상용 프로그램인 Cruise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엔진, 동력전달계 및 보기류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Lock-up 및 변속 패턴 제어 최적화를 통한 연비 개선
-Fast warm-up 및 오일온도 상승에 따른 연비 개선 효과 예측
-감속구간에서 Fuel-cut 제어가 연비에 미치는 영향 도출
-수동변속기 차량의 최적 변속시기 예측을 위한 알고리듬 개발 및 연비 효과 검증 

4. 상용 차량의 연비 시험 모드 개발:

연비 시험 모드가 부재한 상용차량을 위한 모드 개발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차량의 실도로 주행 패턴을 분석하여 속도, 가속도, 경사도 및 엔진운전영역 등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형 트럭의 연비 시험 모드 개발
-운행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고속버스 및 시내버스 연비 시험 모드 개발